콘텐츠로 건너뛰기
Home » Blog » 온라인카지노의 작동원리와 서버 구조

온라인카지노의 작동원리와 서버 구조

온라인카지노의 기본 구조 및 원리

온라인카지노 작동원리·서버 구조·RNG vs 라이브 카테고리를 기술·규제 관점에서 한눈에 정리하였습니다.

온라인카지노의 기본 구조

“클라이언트 ↔ 플랫폼 ↔ 게임엔진”

온라인카지노는 크게 사용자 단말(웹/모바일 앱), 플랫폼(계정·지갑·KYC/AML·보너스·로그), 게임엔진(슬롯·테이블·라이브 스튜디오)로 나뉩니다.

규제권(예: 영국)은 원격(리모트) 도박 기술 표준(RTS)로 보안·무결성·로그 저장·감사 범위를 구체화하고, 보안은 ISO/IEC 27001 하위 요구사항과도 연결해 운영·데이터 보호를 강제합니다.

  • 플랫폼 계층: 로그인/인증, 지갑(입·출금·한도), 보너스 로직, 플레이 로그/감사, 책임도구(한도·쿨오프).
  • 게임 엔진:
  • RNG(난수) 기반 비디오 슬롯·RNG 룰렛 등
  • 라이브(실시간 중계) 바카라·블랙잭·룰렛 등
  • 감사/시험: 독립 시험기관이 소프트웨어·RNG·라이브 스튜디오를 테스트 → 규제기관의 RTS/테스트 전략에 맞춰 주기적 보고.

RNG(난수생성) 게임의 원리

“예측 불가능성·스케일링·시드 관리”

RNG 게임은 난수생성기가 ‘다음 결과’를 정합니다.

영국 RTS는 RNG가 예측 불가능, 편향 없음, 시드/리시드가 예측성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계돼야 하고, 난수 → 게임심볼로 바꾸는 스케일링 과정에서도 난수의 성질이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고 못 박습니다.

독립 시험기관(eCOGRA, GLI 등)은 RNG의 통계적 난수성(분포·주기·상관)을 시험하고, 장비/코드 변경 시 재시험을 진행합니다(예: GLI-11 RNG 요구사항).

  • RTP(환수율): 설계된 장기 평균 수치로, 실제 운영 중엔 월간 실측 RTP를 집계해 목표 대비 편차를 모니터링합니다(UKGC의 라이브 RTP 모니터링/계산 가이드).

단기 결과는 크게 출렁일 수 있으므로 설계 RTP = 단기 승률이 아님을 기억하세요.

제 의견: “RTP 97%니까 무조건 유리”는 착각입니다. 저는 테스트할 때 설계 RTP실측 RTP(사업자가 공개하거나 규제 보고로 언급되는)를 함께 봅니다. 장기 평균과 월별 실적은 다를 수 있거든요.


라이브 카지노의 원리

“스튜디오 ↔ 인코더 ↔ 저지연 스트리밍”

라이브 카테고리는 실제 딜러·장비(카드슈/휠)를 스튜디오에서 운영하고, 카메라·인코더가 영상을 저지연 프로토콜(WebRTC·저지연 HLS 등)로 전달합니다.

iGaming 스트리밍은 저지연·보안·품질·확장성이 핵심으로, 베팅 마감/결과 확정이 밀리초 단위로 맞물려야 공정성이 유지됩니다.

시험기관은 라이브 스튜디오의 장비·신호·절차(게임 컨트롤 유닛, 결과 캡처·전송, 공정성·책임도구 표기)를 검증합니다.

eCOGRA는 라이선스·인프라·공정성·책임 규정 준수 여부까지 포함한 라이브 테스트 스코프를 명시합니다.

라이브 파이프라인(개념도)

  1. 스튜디오(딜러/게임 테이블/카메라) → 2) 인코더/암호화 → 3) 스트리밍 CDN(저지연) → 4) 플랫폼(베팅·정산) → 5) 사용자 단말(결과 표시)

RNG vs 라이브 : 요약 비교

  • 결과 생성:
  • RNG: 소프트웨어 난수 → 결과 매핑. RNG·스케일링 시험 필수.
  • 라이브: 실제 물리 이벤트(카드/휠) + 영상/센서 → 결과 캡처. 스튜디오·신호·절차 시험.
  • 지연/체감:
  • RNG: 즉시성↑, 딜레이 거의 없음.
  • 라이브: 초저지연 요구(마감/결과 동기). 지연 관리 실패 시 분쟁 소지↑.
  • 감사/운영:
  • RNG: 코드 변경 시 재시험·릴리즈 관리.
  • 라이브: 스튜디오 운영 표준·카메라/조명/장비 캘리브레이션·딜러 절차 준수.

규제·감사 프레임 : “표준+시험+모니터링”의 3박자

  • RTS/보안 표준: 원격 도박 기술 표준과 보안 요구(ISO 27001 일부)를 준수.
  • 시험 전략: UKGC의 테스트 전략·절차에 따라 출시 전/후 시험, 연간 감사, 보안 감사 보고를 제출.
  • 운영 중 모니터링: 실측 RTP를 월별로 계산·감시, 설계 RTP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면 원인 분석·시정(설정/기술 이슈 등).
  • 관할 변화: 큐라소는 2024.12 LOK(국가 게임법) 발효로 감독·허가 체계를 전면 개편, 투명성·집행력 강화를 표방(규제 포털 공지). 사업자별 전환 준수가 신뢰도의 핵심 지표입니다.

한 줄 팁: 사이트를 볼 때 RNG/라이브 시험기관 로고(eCOGRA/GLI 등), 규제 레지스트리 등록·제재 이력, RTP/책임도구 안내를 함께 확인하세요.


플레이어 관점 핵심 체크리스트

  1. RNG·라이브 시험 표기(eCOGRA/GLI 등)와 규제 등록 링크 확인.
  2. RTP 안내가 설계 수치인지, 운영 중 실측 공개가 있는지 점검.
  3. 지연·마감 UI가 명확한지(라이브), 베팅 상한/제외 게임 등 핵심 조건을 초반에 고지하는지.

자주 묻는 질문(FAQ)

RNG는 ‘진짜’ 무작위인가요? 예측 가능한 PRNG 아닌가요?

대부분 고품질 PRNG를 사용하지만, 예측 불가능성·편향 없음·시드/스케일링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독립 시험기관이 검증합니다. 변경 시 재시험이 요구됩니다.

라이브 게임은 조작 위험이 더 큰가요?

반대로 스튜디오 절차·장비·신호까지 범위를 넓혀 현장 기반 시험을 합니다. 지연·마감 동기와 결과 캡처가 핵심 검증 포인트입니다.

RTP 96% 표시는 당장 체감 승률과 같나요?

아닙니다. 장기 평균일 뿐이며, 규제 가이드는 월별 실측 RTP를 산출·감시해 목표와의 차이를 관리하도록 요구합니다. 단기 변동은 큽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